The planning of this exhibition is based on the belief that students’ architectural work can and should be the subject of criticism. This stems from a reality in which student work is often seen as unrealistic, even though it has the potential to spark new architectural and urban discourses. Therefore, this exhibition is also an experiment to see what kind of discussions can be sparked when a space for autonomous discourse among students is created, while slightly stepping aside from the framework of an architecture exhibition prepared by the school.
For this reason, student work, especially work from the graduating class, was placed in this forum for discussion. Seven teams representing a diverse range of works submitted to this year’s Seoul National University Architecture Exhibition were invited, regardless of whether they received awards or not. They “respond quickly to sensitive social issues, or calmly explore classic forms while also showcasing new technologies.”[1] What does this combination of bold or delusional architectural proposals imply for our generation’s architectural and urban discourse? Does their combination create a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architecture of previous generations?
In order to capture specific meaning, seven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architecture exhibitions were invited as critics. They lead the production of discourse by pouring out words and writings about the work of graduates. Records of criticism and discussion produced through this are displayed alongside the works. Viewers can jump into an endless field of meta-criticism by uploading their own arguments through the online exhibition website. When enough opinions are gathered, wouldn’t we be able to gather and share “the language that our generation’s architecture will use together?”[2]
The exhibition ‘Freeze’ (1988), organized by British artist Damien Hirst and his classmates during his school days, led to the birth of YBA, which grew into a leader in contemporary art discourse. Observing the diverse spectrum of recent student work together, talking about it, and following the flow. This is the point where the previous plan was founded.
[1] Da-ye Kim, Some people, some stories (Daring or Delusional, 2022.)
[2] Lee Geon-il, Architect and Horse (Daring or Delusional, 2022.)
Park Shin-woo, planner, stud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Exhibition: Daring or Delusional
Related article: Seoul Nation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Curated by Indepth
Sponsored by DAAE
Seoul National University XR experience center
September 26, 2022 – October 7, 2022
이번 전시의 기획은 학생들의 건축작업이 비평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되어야 한다는 믿음에 기반합니다. 이것은 학생작업이 새로운 건축과 도시 담론을 촉발할 잠재력을 지님에도 종종 비현실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현실로부터 발원합니다. 때문에 이 전시는 학교에서 마련한 건축전의 틀에서 살짝 비켜선 채, 학생간 자율적인 담론의 장을 마련했을 때 어떤 논의들이 촉발될 수 있는가에 대한 실험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연유로 학생작업, 그 중에서도 졸업학년의 작업이 이곳 담론의 장에 세워졌습니다. 올해 서울대학교 건축전에 출품된 작업들의 다원적인 흐름을 대변하는 7팀이 수상 여부에 관계없이 초청되었습니다. 이들은 “민감한 사회문제에 재빨리 반응하거나, 고전적 형태를 차분히 탐구하는 한편, 새로운 기술을 멋지게 선보이기도” 합니다.[1] 대담하거나 망상적인 이들 건축적 제안의 결집이 우리 세대 건축과 도시 담론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이들의 결집은 앞선 세대의 건축과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내고 있을까요?
구체적인 의미를 포착하고자, 건축전을 치렀던 7인의 졸업생이 비평가로 초대되었습니다. 이들은 졸전자들의 작업에 대한 말과 글을 쏟아내며 담론 생산을 주도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된 비평과 토론의 기록은 작품들과 나란히 전시됩니다. 관객들은 온라인 전시 웹사이트를 통해 각자의 주장을 업로드하며 끝없는 메타비평의 장으로 뛰어들 수 있습니다. 이로서 충분히 많은 의견들이 모였을 때 우리는 “우리세대 건축이 함께 쓸 언어”를 주워모아 나눌 수 있지 않겠습니까.[2]
영국의 미술가 데미안 허스트가 학창시절 동기들과 스스로 조직한 전시 ‘Freeze’(1988)는 YBA가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들은 동시대 미술 담론을 이끌어가는 주체로 성장했습니다. 근래의 학생작업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함께 관찰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그 흐름을 따라가보는 것. 전의 기획이 정초된 지점입니다.
[1] 김다예, 어떤 사람, 어떤 이야기(Daring or Delusional, 2022.)
[2] 이건일, 건축가와 말(Daring or Delusional, 2022.)
박신우, 기획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재학
전시: Daring or Delusional
관련 글: Seoul Nation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 에르사츠
ⓒ Ersatz